'골프클럽'에 해당되는 글 10건
-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5샷. 샷 하기 전 클럽 교체 생각들면 꼭! 후회없이 바꿔서 치기 2022.02.09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7샷. 그린의 깃대는 언제 뺄수 있나? 2021.05.08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샷. 클럽의 종류 2020.03.03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5샷. 골프 클럽 모양, 구조와 명칭 2020.02.25
- [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2) 2013.10.03
- [골프컬럼] #96. 골프 클럽이 일하도록 하자! 2013.05.02
- [골프컬럼] #81. 골프스윙의 심리적 희비 순환 패턴 (4) 2012.09.12
- [골프상식] #45. 한번 휘둘러 두번 이상 클럽에 공이 맞을 경우 (2) 2011.03.04
- [골프컬럼] #24. 본의 아니게 동반하기 싫은 골퍼가 되는 습관들 2011.02.28
- [골프컬럼] #13. 골프클럽을 바꾸는 심리 2010.12.27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5샷. 샷 하기 전 클럽 교체 생각들면 꼭! 후회없이 바꿔서 치기[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5샷. 샷 하기 전 클럽 교체 생각들면 꼭! 후회없이 바꿔서 치기
Posted at 2022. 2. 9. 07:45 | Posted in 동영상/슬기로운 골프생활라운드 중 클럽 교체를 하고 싶은데,
캐디에게 애기하기도 좀 그렇고
동반자들에게도 미안한 느낌이 들어서
가지고 있는 클럽으로 조금 세게 또는 약하게 쳐본 경험들이 있는데요.
그 샷 중에 제대로 잘 맞은 적이 거의 없었던 것 같은데요.
가급적 흐름에 영향이 없다면 꼭 교체하여 샷 하시기 바랍니다. ^^
'동영상 > 슬기로운 골프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7샷. 아마추어 골퍼가 프로 골퍼 보다 불리한 것들 (0) | 2022.03.16 |
---|---|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6샷. 자신의 감과 포텐셜을 믿고 연습해 보세요. (0) | 2022.02.22 |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4샷. 이런 내기 방법 어때요? 핸디 보다는 티잉구역 선택 (0) | 2022.01.17 |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3샷. 골프스윙이 갑자기 안되거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를때(골프공이 너무 안 맞을때) ^^ (0) | 2021.12.24 |
[마인드골프의 슬기로운 골프생활] 12샷. 골프장 일찍 도착해야 스코어가 좋아져요. ^^ (0) | 2021.07.13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7샷. 그린의 깃대는 언제 뺄수 있나?[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7샷. 그린의 깃대는 언제 뺄수 있나?
Posted at 2021. 5. 8. 09:53 | Posted in 동영상/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2019년 1월 이전에는 퍼팅 그린에서 퍼팅 시
깃대를 그대로 두어 퍼팅하다가
깃대에 공이 맞으면 2벌타를 받았는데요.
그 이후 개정된 룰에는 깃대를 두고
퍼팅을 해도 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이 외에도 깃대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팁을 알려드립니다. ^^
'동영상 > 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9샷. 남의 그린에 올라간 공의 플레이 (0) | 2021.05.24 |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8샷. 프린지, 에이프런에서 온 그린이란? (0) | 2021.05.13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6샷. 헛스윙과 의도 (2) | 2021.04.27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5샷. 골프에서 어드바이스란? (0) | 2021.04.20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4샷. 갤러리가 고의로 공을 건드리는 경우 (0) | 2021.04.14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샷. 클럽의 종류[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샷. 클럽의 종류
Posted at 2020. 3. 3. 09:00 | Posted in 동영상/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룰에 의하면 클럽은
최대 14개까지 가지고
플레이를 할 수 있어요.
클럽의 종류는 크게
우드, 아이언, 하이브리드
웨지, 퍼터가 있어요.
우드는 클럽마다 각각의 별명이 있구요.
각 클럽마다 모양과 용도가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 합니다. ^^
'동영상 > 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8샷. 기타 용품(골프화, 장갑, 캐디백, 보스톤백, 티 등) (0) | 2020.03.17 |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7샷. 골프공의 종류; 딤플의 원리 (0) | 2020.03.10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5샷. 골프 클럽 모양, 구조와 명칭 (0) | 2020.02.25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샷. 스코어카드 작성하기 (0) | 2020.02.18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3샷. 스코어 명칭과 핸디캡 (2) | 2020.02.12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5샷. 골프 클럽 모양, 구조와 명칭[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5샷. 골프 클럽 모양, 구조와 명칭
Posted at 2020. 2. 25. 08:30 | Posted in 동영상/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클럽의 기본 구성인 그립, 샤프트와
헤드 부분을 이야기 합니다.
샤프트의 재질에 따라
스틸, 그라파이트 종류가 있고,
강도에 따라서 L, R, S, X 등으로
표현된다는 것.
그리고 클럽헤드에 있는 그루브(grooves)의
중요한 역할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동영상 > 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7샷. 골프공의 종류; 딤플의 원리 (0) | 2020.03.10 |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6샷. 클럽의 종류 (0) | 2020.03.03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샷. 스코어카드 작성하기 (0) | 2020.02.18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3샷. 스코어 명칭과 핸디캡 (2) | 2020.02.12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2샷. 골프 경기 진행 방식 (0) | 2020.02.04 |
[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Posted at 2013. 10. 3. 09:40 | Posted in 골프 컬럼골프, 최대 14개 클럽!
다른 어떠한 운동 대비 많은 장비(클럽)을 사용하는 것이 골프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지요. 골프룰에 의하면 라운드에서 사용하는 최대 클럽 갯수는 14개로 제한이 되어 있습니다. 그 14개의 클럽이 비슷한 종류도 아니고 클럽 헤드의 모양에 따라서, 샤프트 길이의 차이에 따라서 몇가지로 나누어지기도 하지요. 이미 많이들 아시겠지만, 크게 이러한 종류 중에는 우드(wood) -요즘은 사실 메탈(metal)이죠 -, 하이브리드(hybrid), 아이언(iron), 웨지(wedge) 그리고 퍼터(putter)가 있습니다.
출처 : globalgolf.com
각각의 클럽들은 개별적인 로프트(loft)와 클럽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모든 클럽이 사실 다 다르게, 정확히는 균등한 간격의 거리로 달리 보내지는 것이 이상적인 것이지요. 또한 클럽의 종류에 따라서 샷의 목적과 사용하는 장소가 다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롱 게임(long game)으로 대표되는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목적과 특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이야기의 관점이 장비의 물리적인 특성 보다는 샷의 특성에 좀 더 집중을 하려고 하니 요즘 다양한 기술로 발전하는 장비의 특성으로 이야기가 확대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드라이버, 아이언 샷 차이
위에서 언급했듯이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은 소위 풀 스윙(full swing)을 하여 공을 멀리 보내는 샷으로 롱 게임(long game)이라고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대략 100야드 안쪽에서 그린을 향하여 풀 스윙 보다는 컨트롤 하는 샷 형태를 숏 게임(short game) 영역이라고 합니다. 풀 스윙(full swing)을 하는 관점에서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은 모두 거리를 충분히 보내기 위한 클럽으로 볼수 있지만, 두 클럽은 샷의 목적으로 보자면 명확히 차이를 나타냅니다. (간혹 아이언 티샷을 하거나 드라이버로 컨트롤 샷을 하는 경우의 특수한 상황은 제외한 일반적인 샷의 특성을 이야기 합니다.)
티잉 그라운드에서 호쾌하게 날리는 드라이버 샷은 일반적으로 파4, 파5와 같이 한번에 그린을 공략하기에 힘든 거리에서 첫번째 샷으로 사용을 하게 됩니다. 골프가 거리와 방향의 게임으로 대표되는데 여기서 드라이버 티샷은 거리적인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하지요. 로프트도 낮고 - 보통 남자의 경우 9~10.5도, 여자의 경우 10.5~13도 - 클럽 길이도 가장 길어서 원심력도 크기 때문에 상당한 거리를 보낼 수 있는 클럽이지요. 만약 방향이 크게 잘못 되지 않는다면 이 클럽은 대체로 멀리 보내면 보낼 수록 좋은 클럽입니다. 그러기에 많은 광고에서 '비거리', '고반발', '장타' 등의 키워드를 사용하기도 하지요.
아이언 샷만의 특징!
반면 아이언 샷은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 아이언 샷의 경우 대체적으로 그린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또한 사람에 따라서 매번 아이언 보다는 우드나 하이브리드, 드라이버가 장타인 경우엔 웨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이언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레이가 골프 홀 디자인에 좀 더 재밌는 플레이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그런 형태로 플레이 되도록 홀 디자인이 되어 있기도 하구요.
그린 또는 홀을 목적으로 하는 샷 측면에서 보자면 홀의 위치는 현재 있는 공의 위치에서 특정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드라이버 샷의 경우 방향이 맞으면 가급적 거리가 많이 가는 것이 좋지만, 아이언 샷의 경우엔 방향 뿐만 아니라 거리도 정확히 맞아야 잘 쳤다고 할 수 있으니 샷의 결과적인 측면에서는 드라이버 샷 보다 훨씬 엄격한 기준인 것이 되는 것이죠.
포물선 운동을 하는 공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공은 땅에 떨어진 후 날아간 방향으로 계속 튕겨서 좀 더 굴러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때에 따라서 맞바람이 불거나 땅이 너무 물렁하여 공이 박히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는 공이 진행 방향으로 더 굴러 가는 것이지요. 그린의 특정 부분 또는 홀에 최대한 가깝게 공을 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공이 굴러가는 부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공이 떨어지는 부분에 의해서 튀는 방향과 정도 그리고 굴러가는 정도를 예측하는 것이 아주 어렵기 때문이지요.
그루브(grooves)와 백 스핀(back spin)
여기에 아이언 샷의 핵심이 있습니다. 모든 클럽이 그린과 홀을 향해서 원하는 위치에 떨어뜨릴 수도 있겠지만, 다른 클럽 보다는 아이언 클럽이 가장 그러한 목적에 잘 맞게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아이언 클럽의 경우 자세히 보시면 클럽 페이스(면)에 가로로 줄이 많이 그어져 있습니다. 이것을 그루브(grooves)라고 하는데 이것이 있는 이유는 멋으로 보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실제 이 부분의 역할이 공과 클럽의 마찰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예전에 손 빨래를 할 때 사용하던 빨래판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좀 더 쉬울 수 있습니다. 빨래판을 자세히 보면 그냥 평평하지 않고 가로로 굴곡이 있는 줄이 규칙적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유는 빨래를 비빌때 빨래판과 마찰을 높여서 빨래의 때를 많이 지우기 위함이지요. 만약 빨래판이 밋밋하게 평평하다면 빨래 하는데 상당히 힘들 것이 쉽게 상상이 될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원리로 아이언 샷은 공과 클럽 페이스의 마찰력을 최대화 시켜서 공에 역회전이 걸려서 날아가는 동안에도 그리고 땅에 떨어지는 순간에도 공이 날아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 회전으로 공이 지면에 떨어진 이후에 진행 방향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최대한 적게 하는 역할을 하게 만들지요. 소위 이야기 하는 백스핀 량에 따라서 간혹 중계를 보면 공이 뒤로 굴러오는 것도 쉽게 볼 수 있지요.
출처 : golfdigest.com
선수들과 함께 다니는 캐디가 샷이 끝난 다음에 클럽을 닦을 때 그냥 수건으로 닦기도 하지만, 그루브 사이에 흙이나 풀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을 제거하기 위해 특별한 도구로 열심히 파 내는 장면도 간혹 볼 수 있는데, 그 이유가 다음 샷에서 공에 정확한 스핀량을 주기 위해 정돈 하는 작업인 것입니다. 아마추어 골퍼들의 경우 대체적으로 라운드 끝난 후 캐디가 닦아 주기도 하지만, 잘 관리를 안 하는 분들은 그루브 청소가 잘 안되어 있는 경우도 많이 있지요.
그런데, 이러한 백스핀은 그냥 아이언 클럽으로 샷을 한다고 그냥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소위 이야기하는 다운스윙 궤도에서 공이 먼저 클럽에 맞고 나서 공의 타겟 방향쪽 앞쪽의 땅을 훓고 지나가는 형태의 다운 블로우(down blow) 샷이 되어야 그루브에 최대한 마찰을 걸 수 있는 샷의 형태가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아마추어의 경우 이러한 스윙 궤도를 만들지 못하기에 공에 스핀을 주지 못하고 결과로서 공은 원하는 위치에 서거나 뒤로 오지 않는 것이지요.
위의 글에서도 자세히 설명을 해 놓고 있는데, 많은 경우 백스윙 탑에서 내려오며 코킹이 빨리 풀리게 되는 캐스팅(casting) 현상으로 인해 임팩트가 되기 전에 이미 스윙 궤도는 지면에 가깝게 평평하게(flat) 들어오기에 예리하게 공을 먼저 임팩트 하는 다운 블로(down blow ; descending blow) 형태가 되기가 상당히 어렵게 됩니다. 그렇다고 인위적으로 이러한 자세를 만들다 보면 전체적인 스윙 측면에서 어색하기도 하고 과한 동작으로 몸이 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임팩트 방식과 공 위치 차이
공을 임팩트 하는 방식의 차이는 실제 셑업 자세에서 공을 치는 위치에서도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은 차이가 명확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아이언의 경우 다운스윙 과정에서 다운 블로(down blow) 형태로 임팩이 되는 것이 공을 원하는 위치에 세우기에 좋다면, 드라이버는 보다 먼 거리를 보내는 측면에서 어퍼 블로(upper blow; ascending blow) 형태로 맞아야 하기에 오른손 잡이 기준으로 공을 좀 더 왼쪽에 놓게 됩니다. 일반적인 레슨에서는 왼발 뒷꿈치 안쪽 정도의 위치에 놓도록 하지요.
선수들이 아이언 샷을 하고 난 이후에 잔디(디봇; divot)가 떨어져 날아가는 멋진(?) 장면을 보여 주는데, 고속 촬영으로 정확히 보게 되면 공을 맞고 공이 날아간 이후에 클럽은 비로서 최저점을 지나면서 땅을 파서 디봇을 만들어 날려 보내는 것이죠.
출처 : golfdigest.com
드라이버와 달리 아이언 클럽은 이처럼 거리와 방향이 모두 정확 할수록 잘 완성된 샷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다른 어떤 종류의 클럽 보다도 가지수도 가장 많은 것이지요. 왜냐면 다양한 거리에서 정확하게 거리를 맞춰서 공을 세울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언 클럽은 많이 있잖아요!
많은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아이언 샷으로 거리를 많이 보내려는 데 너무 집중과 연습을 하는 경우가 있지요. 물론 기본적인 거리가 나지 않는다면 그 또한 연습 해야 할 대상이겠지만, 남자의 경우 대략 7번으로 130야드 이상, 여자의 경우 7번으로 90야드 이상이라면 굳이 거리에 목숨을 걸고 연습을 하는 것 보다는 다양하게 가지고 있는 아이언으로 정확한 거리를 보내는 연습을 하시는게 더 좋은것 같습니다. 물론 아이언 클럽별 거리가 일정하려면 스윙이 일정하여야겠구요.
지금 하고 있는 아이언 샷 형태를 한번 생각해 보세요. 필드에서건 연습장에서건 거리에 목숨 걸고 멀리 멀리 보내려고 땀 뻘뻘 흘리고 계시진 않은지 또는 그러다가 몸이 상하거나 다쳐본 경험은 없는지.
이럴 때 자신의 골프백을 쳐다 보세요. 여러분의 손길을 기다리는 다른 아이언 클럽들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106. 마인드골프 블로그 3년과 숫자들 (0) | 2013.11.06 |
---|---|
[골프컬럼] #105. 골프에서 에티켓이란? (상) (0) | 2013.10.15 |
[골프컬럼] #103. 비거리 관점에서 골프 클럽 구성 방법과 기준 (6) | 2013.08.16 |
[골프컬럼] #102. 마인드골프 하루 최다 라운드(108홀) 도전기 (8) | 2013.08.06 |
[골프컬럼] #101. 골프를 잘 친다는 것은? 에티켓? (2) | 2013.07.25 |
[골프컬럼] #96. 골프 클럽이 일하도록 하자![골프컬럼] #96. 골프 클럽이 일하도록 하자!
Posted at 2013. 5. 2. 08:26 | Posted in 골프 컬럼주인과 직원
어떤 가게에 일이 많아져서 아르바이트 할 사람을 한명 뽑았습니다. 그 사람은 생각 했던 것보다 일을 열심히도 안하고 제대로 충실히도 하지 않았지요. 그러다 보니 주인은 일이 나아지기는 커녕 오히려 힘이 더 들어가게 되고 신경도 많이 쓰이기 시작했지요. 그 사람이 열심히 일을 하지 않은 것이 그 사람 차제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주인이 명확한 일 지시나 명령을 잘 내리지 못해서 그런 경우도 있습니다.
일을 다른 사람과 할 때 그 일이 분업이 잘 되어야 일이 잘 될 때가 있지요. 내가 어떤 일의 주인이고 그 일을 하기 위해서 사람을 고용해서 일을 할 때 분명 주인이 할 일이 있고 고용을 당한, 소위 피고용자가 할 일이 있지요.
출처 : surreyccblog.com
몸과 클럽과의 관계
이런 관계를 골프에서 클럽을 들고 스윙하는 관계에 빗대어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스윙을 하는 내 자신이 마치 어떤 가게의 주인이고 많은 동작 중에서 스윙을 하여 공을 맞추기 위한 사람인 클럽을 고용한 관계처럼 말이죠. 스윙을 하여 공을 맞추는 자체는 클럽이 해야 하는 일이기에 주인이 스윙을 하는 동작의 명령을 정확히 그리고 잘 전달해야 골프 클럽은 그 지시대로 명령을 따라서 공을 잘 맞출 수 있겠지요.
스윙을 하다보면 공이 잘 맞았을 때에는 정말 몸이 아주 가뿐하고 힘이 하나도 들지 않는 그런 느낌을 받곤 합니다. 마치 아무것도 치지 않은 듯한 그런 느낌. 그러나 반대로 몸에 힘이 들어가 타핑성 타구나 뒤땅을 심하게 치게 되면 몸도 힘들고 심할 경우 손, 손목, 팔꿈치, 어깨, 갈비뼈와 같은 부위가 다치기도 합니다.
간혹 샷을 너무 과하게 세게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클럽만 들면 멀리 보내고 싶은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럴수록 실제 주인(몸)과 직원(클럽)과의 관계에서 생각해 보면 효율적으로 클럽이 일을 하도록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몸에 힘을 빼고 어깨, 팔, 손목이 가볍게 되어 클럽이 최대한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회전 운동을 하게끔 해야 하는데, 정작 스윙에서는 이 부위들이 딱딱해 지면서 마치 내 몸으로 힘을 만들어 치려는 경직된 스윙이 나오게 됩니다.
소위 힘이 안 빠지는 그런 관계가 어찌 보면 주인이 일을 시키기 위해서 직원을 고용해 놓고 정작 그 직원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주인 본인이 많은 것들을 하려고 하면서 힘도 들고 직원과의 관계도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직원(클럽)을 의심하기도 합니다. 실제적으로는 주인 자신이 문제가 있음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않고 직원(클럽) 탓을 하며 직원을 해고 하거나 교체하기도 하죠. 정작 그 자신에 문제가 있다면 그 가게는 오래 가지 않아 문을 닫거나 경영 악화에 빠지게 되겠죠. 우리 아마추어가 하는 골프도 이런 것과 비슷한 부분이 있지 않을까요?
출처 : perfectgolfswingreview.net
손목이 부드러워야
어떻게 하면 클럽이 일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요? 클럽과 연결을 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가 손목이지요. 스윙에서 손목이 딱딱하게 되면 로테이션도 잘 안되고 그러다 보면 스윙 스피드도 줄게 되고 결국 비거리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손목이 딱딱하게 되는 경우도 그립을 강하게 잡는 경우, 어드레스에서 두 팔을 너무 많이 펴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골프 교본 같은 곳에 보면 그런 표현이 있습니다. '어드레스 자세에서 두 팔은 지면 방향으로 툭 늘어 뜨려 놓는 형태'. 힙을 빼고 상체를 숙인 상태에서 이렇게 중력 방향으로 팔을 늘어 뜨려 놓으면 자연스럽게 팔과 손목에는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지요. 이 상태에서 클럽을 잡으면(그립핑) 손목이 가벼워짐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비로서 클럽에게 일을 시킬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지요.
마인드골프가 간혹 연습장(드라이빙 레인지; driving range)에 가 보면 직원을 고용하시고서 너무 혼자만 일을 하시는 골퍼들을 많이 마주할 수 있습니다.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 참 힘들게 스윙을 하는 모습이 때론 안타깝게 보여지기도 하구요. 고용한 클럽(직원)을 믿고서 몸을 좀 더 편안하고 릴렉스한 상태에서 클럽이 최대한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시를 잘 내릴수 있도록 골프 스윙을 해 보시는 것은 어떠실지요?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98. 일정한 골프, 평정심 잃지 않는 위기관리 능력 (0) | 2013.05.16 |
---|---|
[골프컬럼] #97. 골프레슨에 대한 생각(5) : 기대치; 대단한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 (0) | 2013.05.10 |
[골프컬럼] #95. 나만의 파(PAR) 스코어카드로 라운드 하기! (0) | 2013.04.25 |
[골프컬럼] #94. 평생 칠 골프, 기분좋게 마인드골프 하자구요!! (0) | 2013.03.27 |
[골프컬럼] #93. 골프 체중 이동, weight shift? body shift? (0) | 2013.03.14 |
[골프컬럼] #81. 골프스윙의 심리적 희비 순환 패턴[골프컬럼] #81. 골프스윙의 심리적 희비 순환 패턴
Posted at 2012. 9. 12. 11:32 | Posted in 골프 컬럼최근 마인드골프에게 골프를 배우고 계시는 분 중에 축구를 매우 좋아하여 클럽 활동도 하고 일주일에 한두번씩은 축구를 할 정도로 좋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그 분이 축구를 한창 좋아서 시작한 시기가 클럽에 계시는 다른 분들보다 조금은 늦은 시기라 다른 분들에 비해서 연습도 더 많이 하고 노력을 많이 하셨다고 하네요. 그렇게 많은 연습을 통해서 이제는 다른 동료들 보다도 오히려 잘 하시는 수준까지 되셨다고 하시네요. 이 분께서 골프를 시작하시면서 아마도 축구와 같이 조금은 다른 주변분들보다 조금은 늦게 시작하였지만, 연습을 많이 하면 금방 따라 잡을 것이라 생각을 하셨나 보더라구요. 그러나 연습을 해도 생각보다 빨리 늘지 않는 모습에 자신이 골프에는 잘 맞지 않다거나 재능이 없는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시게 되고 한번은 골프를 심각하게 그만할까를 고민도 하셨네요. 그 시기가 불과 2개월 정도였기에 마인드골프는 아직 그렇게 생각하시기엔 시기상조라고 얘기를 드렸지요. 물론 본인은 이해가 잘 안되었던거 같습니다.
출처 : blog.naver.com
골프 이외에 다른 운동을 어느정도 해 보신 분들이 계시다면, 골프처럼 참 정복하기 힘든 운동이 없다고들 얘기를 많이 하시지요. 마인드골프도 그 부분에서는 동의를 하구요. 그 동안 해본 운동중에 이렇게 시간과 비용을 많이 투자하여 해 본 운동도 없고 그에 비해서 느는 속도는 훨씬 더디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그래도 다른 골퍼분들 보다는 투자 대비 효과는 좀 좋았던 것 같습니다. 그러기에 블로그 제목도 '마인드골프의 골프가 제일 쉬었어요.' 잖아요. 골프를 하다보면 스윙과 샷이 잘 될 때도 있고 갑자기 왜 그런지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잘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은 절대 한 방향으로만 계속 진행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골프를 이제 시작하신 분도, 10년 이상 아니 20년 이상 골프를 하신분도 비슷하게 느끼는 골프 스윙과 심리 상태에 대한 순환 고리가 있는거 같습니다. 오늘은 이 내용에 대해서 써 볼까 합니다.
골프가 다른 운동에 비해서 예민하다는 얘기를 공감하실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그 이유는 그만큼 골프는 포용성 또는 관용성(forgiveness)가 다른 운동에 비해서 작기 때문으로 생각이 됩니다. 골프란 운동이 멀리 치기만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높이 치는 운동도 아니고 또 빠르게 친다고 잘하는 운동은 아니지요. 다른 운동과 비교를 하자면 아마도 양궁과 가장 비슷한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정확한 거리와 방향이 동시에 맞아야 하는 운동이지요. 이 두가지를 다 만족하려면 골프 스윙과 같은 빠른 운동에서 스윙의 궤도와 공을 맞추는 임팩트 순간에 클럽 페이스의 방향이 아주 예민하게 정확히 맞아 떨어져야 골퍼가 희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운스윙에서는 1초도 안되는 시간에 임팩트 존을 지나가며 그 순간에 정확한 클럽 페이스 각도를 맞추고 심지어 클럽 페이스의 스윗스팟(sweet spot)에 공이 임팩트 되어야 하니 이런 관점으로 보면 골프가 얼마나 어려운 운동임을 조금은 더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골프가 잘 되고 안 되고 하는 것은 다른 운동에 비해서 훨씬 자주 발생을 합니다. 지난주까지도 아니 바로 어제 까지도 잘 되던 것이 오늘 스윙이 이상하고 샷의 결과도 이상함을 느끼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모든 과정이 그렇지는 않지만 마인드골프가 생각하는 골프스윙의 희비 순환 패턴으로도 이러한 순환 현상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순환 패턴은 어떠한 것이 먼저 시작된 것이 아니라 골퍼 자신의 현재 상태가 이 단계중 어느 하나에 있다가 이 순환 패턴을 탄다고 보는 것이 맞을 거 같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순환 고리의 단계는 크게 다음과 같은 4단계가 있는거 같습니다.
1. 공이 잘 맞는다.
2. 힘을 주어 세게 치면 더 많이 나가겠지?
3. 공이 일정하게 맞지 않는다.
4. 마음을 비운다.
각 단계의 제목만 봐도 벌써 느낌이 잘 오실텐데요. 마인드골프도 한때 이러한 패턴으로 샷의 기복이 있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어느날 공이 잘 맞습니다. 이는 연습을 열심히 해서 그럴 수도 있고 어느날 그분이 오셔서 그럴 수도 있고 라운드 중 뭔가를 터득해서 그럴 수도 있고 다양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평소와는 다르게 스윙과 샷이 아주 맘에 쏙 듭니다. 그것이 드라이버든 아이언이든 상황은 비슷합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네 아마추어 골퍼는 이런 생각을 합니다. '오~ 이제 샷이 안정화 되었군. 맘에 드는데' 이러면서 평상시 희망하는 샷의 결과임에도 이에 만족을 하지 않고 '거리를 좀 더 늘릴 수 있겠는데' 라는 생각으로 조금은 과한 스윙을 하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자신감은 바로 전 단계에서 느꼈던 '공이 잘 맞는' 단계에서 온 것이죠. 다행히 샷도 좋고 거리도 늘면 좋겠지만, 많은 연습을 통해서 일정하게 자신만의 스윙이 되지 않고 우연히 잘 된 경우라면 스윙에 인위적인 힘이 들어간다든지 몸을 과하게 사용하여 기존에 '공이 잘 맞는' 단계의 스윙의 패턴과 힘의 활용을 잘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그렇습니다. 샷의 일관성이 떨어지게 되지요. 그래도 간혹 방향과 거리 모두 원하는 형태의 스윙과 샷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1단계의 '공이 잘 맞는다,'의 느낌으로 지속적으로 잘 맞는 샷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아마추어 골퍼에게는 연습장에서든 라운드 중에서든 뭔가 샷이 잘 안되면 행동 패턴이 빨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마음이 급해지기 때문이죠. 빨리 원하는 샷을 만들어 자신의 마음 상태를 좀 더 편안하게 하고 싶어서인데, 급한 마음이 오히려 상황을 더 악화 시키고 몸도 긴장을 하게 되니 경직되어 오히려 평상시의 샷 만큼도 하지 못하지요. 그러다 보니 3단계의 일정하게 맞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아지고, 공을 치는 것이 재미도 없어집니다. 게다가 1단계에서 '공이 잘 맞는' 단맛을 보았기에 3단계의 '공이 일정하게 맞지 않는다'의 상태가 더 쓰게 느껴지게 되지요.
출처 : site.rockbottomgolf.com
3단계에 있는 상황에서 연습장이면 웨지나 숏/미들 아이언 등으로 좀 더 편안한 스윙을 하며 평상시 패턴을 찾으려는 시도를 하거나 어떤 경우엔 타석에서 뒤로 나와 담배를 피거나 음료수를 마시며 잠시 쉬며 마음을 진정해 보기도 합니다. 라운드 중에는 잘 되다가 몇개 샷이 잘못 되어 몇개 홀을 망치고 나면 당장 집에 가고 싶다는 생각과 더불어 '에이, 오늘은 그냥 연습 라운드라 생각하고 나머지 홀 치자' 라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소위 얘기하는 '마음을 비운다.'의 4단계에 접어드는 것이죠. 이런 상태가 되면 조급한 생각과 마음도 좀 덜 해지고 그러다 보니 몸도 덜 경직되다 보니 오히려 샷이 다시 조금씩 맞는 경험을 하신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그때쯤이면 '뭐 골프 이거 포기하니 더 잘되네' 하며 얘기하시는 분들도 있죠. 이 단계가 되면 다시 마인드골프가 처음 얘기했던 1단계인 '공이 잘 맞는다.'의 단계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4가지의 단계에서 항상 1단계로 시작하는 것은 아니고 어떤 골퍼는 3단계 상태에서 너무 잘 안되어 4단계가 되고 다시 1, 2단계의 순환 고리를 타게 되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형태가 있겠지만, 이 골프스윙의 희비 순환 패턴 안에서 우리의 스윙은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마인드골프도 이제 골프를 한지 10년이 좀 넘었는데, 지금도 간혹 이 순환 패턴의 고리안에 있는 마인드골프 자신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고, 가급적 1단계의 상태에서 이 순환 고리를 끊어서 오래도록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마인드골프를 지양하려고 노력을 합니다.
이러한 스윙의 패턴의 고리는 아마추어 골퍼들이 평생 골프를 하면서 자주 겪는 과정 중 하나라 생각을 합니다. 간혹 자신이 이러한 스윙 패턴을 반복하고 있음을 깨닫는다면 가급적 스윙이 잘 된다는 1단계의 상태를 최대한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연습을 통해서 완전히 자신의 것을 만들어 놓고 그 다음 2단계로의 시도를 차분히 준비하여 한다면 소귀의 목적을 이루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다시 말해 예민한 운동인 골프를 너무 얕잡아 보고 변화를 주다가 자칫 원래의 상태 조차도 못 돌아가는 경우가 생기는 불상사가 있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연습이 따르는 욕심은 도전이고,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도박이지 않을까요?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 (0) | 2012.10.25 |
---|---|
[골프컬럼] #82. 마인드골프 블로그 2년과 숫자들 (0) | 2012.10.04 |
[골프컬럼] #80. 골프레슨에 대한 생각(3) : 관찰자 시점, 나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0) | 2012.09.07 |
[골프컬럼] #79. 골프 경기 진행 흐름, 앞 팀 따라가기 (0) | 2012.08.29 |
[골프컬럼] #78. 마인드골프 하루 걸어서 최대 라운드(72홀) 도전기 (7) | 2012.08.23 |
[골프상식] #45. 한번 휘둘러 두번 이상 클럽에 공이 맞을 경우[골프상식] #45. 한번 휘둘러 두번 이상 클럽에 공이 맞을 경우
Posted at 2011. 3. 4. 08:35 | Posted in 골프 상식'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47. 볼 마크와 그린을 문지르는 행위 (0) | 2011.03.13 |
---|---|
[골프상식] #46. 다른 사람의 공을 치게 되면 (0) | 2011.03.08 |
[골프상식] #44. 클럽 갯수를 14개로 제한한 이유는? (0) | 2011.03.03 |
[골프상식] #43. 매치플레이 진행과 스코어카드 읽는 방법 (6) | 2011.03.02 |
[골프상식] #42. 드롭하는 방법과 재드롭 하는 경우 (0) | 2011.02.27 |
[골프컬럼] #24. 본의 아니게 동반하기 싫은 골퍼가 되는 습관들[골프컬럼] #24. 본의 아니게 동반하기 싫은 골퍼가 되는 습관들
Posted at 2011. 2. 28. 09:10 | Posted in 골프 컬럼마인드골프도 나름 운동에 소질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까지 해본 다른 운동 보다도 힘든 것이 골프인것이 확실합니다. 기술적으로 일정하고 일관된 샷을 유지하는 것도 참으로 힘들지만 지켜야 할 룰과 매너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일 거 같네요. 아무래도 야외에서 정해진 규격이 없는 곳에서 하는 것이니 너무나도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할 수 있기에 그럴 것입니다. 또 오랜시간 혼자가 아니라 동반자와 "같이"하는 운동이기에 혼자만 잘 한다고 되는게 아닌 운동인 것이기도 하구요.
source : sports-wagering.com
source : http://sportschump.net
source : bbc.co.uk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26. 이기려는 골프 vs 순응하는 골프 (0) | 2011.03.10 |
---|---|
[골프컬럼] #25. 슬로우 골프도 도움을 줄수 있다? (0) | 2011.03.07 |
[골프컬럼] #23. 티타임 잘 지키시는 편이신가요? (0) | 2011.02.21 |
[골프컬럼] #22. PGA 자원봉사(Volunteer) 다녀와서 (0) | 2011.02.17 |
[골프컬럼] #21. 골프에서 거리와 관련된 모든 정보들 (0) | 2011.02.15 |
[골프컬럼] #13. 골프클럽을 바꾸는 심리[골프컬럼] #13. 골프클럽을 바꾸는 심리
Posted at 2010. 12. 27. 10:21 | Posted in 골프 컬럼golfsmith.com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15. 못 친것만 생각하는 스코어 카운트 (1) | 2011.01.12 |
---|---|
[골프컬럼] #14. 골프는 따오는 게임이 아니라 잃지 않는 게임 (0) | 2011.01.04 |
[골프컬럼] #12. 비오는 날 라운드에 필요한 것들 (2) | 2010.12.20 |
[골프컬럼] #11. 골프레슨을 하게 되면서 (0) | 2010.12.07 |
[골프컬럼] #10. 타수대별 골프 생각 그리고 즐기기 (6) | 201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