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에 해당되는 글 63건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18샷. 드라이버 샷 완성하기 2020.05.26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4샷. 골퍼의 키(신장)와 드라이버 비거리 관계 2020.02.21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7샷. 골프 스코어와 기분의 상관관계 2013.12.06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6샷. 퍼터 그립 부분으로 퍼팅을 해도 되나? 2013.11.28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5샷.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2013.11.22
- [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2) 2013.10.03
- [골프컬럼] #103. 비거리 관점에서 골프 클럽 구성 방법과 기준 (6) 2013.08.16
- [라운드기록] 2013.6.18 @Glen Ivy Golf Club 2013.06.20
- [라운드기록] 2013.5.12 @Talega Golf Club 2013.05.18
- [라운드기록] 2013.3.5 @Costa Mesa Country Club 2013.03.08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18샷. 드라이버 샷 완성하기[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18샷. 드라이버 샷 완성하기
Posted at 2020. 5. 26. 08:57 | Posted in 동영상/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동영상 > 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20샷. 아이언 샷 완성하기 (1) | 2020.06.09 |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19샷. 페어웨이 우드샷 완성하기 (0) | 2020.06.02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16샷. 골프스윙에서 오른손(팔)과 왼손(팔)의 역할 (0) | 2020.05.14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15샷. 조던스피스의 홀인원이 더블보기가 된 사연 (0) | 2020.05.11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15샷. 스윙의 7단계 원리 (0) | 2020.05.07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4샷. 골퍼의 키(신장)와 드라이버 비거리 관계[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4샷. 골퍼의 키(신장)와 드라이버 비거리 관계
Posted at 2020. 2. 21. 13:47 | Posted in 동영상/품격있는 시사 골프이야기골퍼의 키(신장)과 비거리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로리맥길로이의 키가 얼마나 되는 것 같으세요?
키와 드라이버 비거리와의 관계를 통계로 알아보지요.
'동영상 > 품격있는 시사 골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6샷. '올드코스', 골퍼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골프장 (0) | 2020.03.05 |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5샷. 티타임 7분 vs 10분. 1분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 (0) | 2020.02.28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3샷. 골프 장비 규제 가능성, 새로운 투어 갤러리 문화 (0) | 2020.02.13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2샷. 전세계 골프장 갯수는?, 프로와 아마추어의 골프 플레이 관점 (0) | 2020.02.06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1샷. 플라스틱티 사용 금지, 홀인원 확률, PGA 슬로우 플레이 제제 (0) | 2020.01.30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7샷. 골프 스코어와 기분의 상관관계[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7샷. 골프 스코어와 기분의 상관관계
Posted at 2013. 12. 6. 10:58 | Posted in 골프 팟캐스트- 아이폰 : http://itunes.apple.com/kr/podcast/id481162674
- 안드로이드 폰 : 팟빵에서 앱 설치하고 '마인드골프' 검색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팟캐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9샷. 골프 스윙은 연속적인 하나의 원 그리기 (0) | 2013.12.19 |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8샷. 홀 주변을 퍼터로 눌러도 되나? (0) | 2013.12.12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6샷. 퍼터 그립 부분으로 퍼팅을 해도 되나? (0) | 2013.11.28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5샷.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0) | 2013.11.22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4샷. 온도(기온)와 비거리와의 상관 관계 (0) | 2013.11.19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6샷. 퍼터 그립 부분으로 퍼팅을 해도 되나?[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6샷. 퍼터 그립 부분으로 퍼팅을 해도 되나?
Posted at 2013. 11. 28. 05:41 | Posted in 골프 팟캐스트- 아이폰 : http://itunes.apple.com/kr/podcast/id481162674
- 안드로이드 폰 : 팟빵에서 앱 설치하고 '마인드골프' 검색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팟캐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8샷. 홀 주변을 퍼터로 눌러도 되나? (0) | 2013.12.12 |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7샷. 골프 스코어와 기분의 상관관계 (0) | 2013.12.06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5샷.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0) | 2013.11.22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4샷. 온도(기온)와 비거리와의 상관 관계 (0) | 2013.11.19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3샷. 볼 마크와 관련한 골프 룰(규정) (0) | 2013.11.12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5샷.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5샷.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Posted at 2013. 11. 22. 15:13 | Posted in 골프 팟캐스트- 아이폰 http://itunes.apple.com/kr/podcast/id481162674
- 안드로이드 폰 : 팟빵에서 앱 설치하고 '마인드골프' 검색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팟캐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7샷. 골프 스코어와 기분의 상관관계 (0) | 2013.12.06 |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6샷. 퍼터 그립 부분으로 퍼팅을 해도 되나? (0) | 2013.11.28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4샷. 온도(기온)와 비거리와의 상관 관계 (0) | 2013.11.19 |
[골프팟캐스트] 2라운드 33샷. 볼 마크와 관련한 골프 룰(규정) (0) | 2013.11.12 |
[골프팟캐스트] 제54샷. 몸에 이상이 있을 땐 골프 잠깐 쉬세요 (0) | 2013.03.09 |
[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Posted at 2013. 10. 3. 09:40 | Posted in 골프 컬럼골프, 최대 14개 클럽!
다른 어떠한 운동 대비 많은 장비(클럽)을 사용하는 것이 골프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지요. 골프룰에 의하면 라운드에서 사용하는 최대 클럽 갯수는 14개로 제한이 되어 있습니다. 그 14개의 클럽이 비슷한 종류도 아니고 클럽 헤드의 모양에 따라서, 샤프트 길이의 차이에 따라서 몇가지로 나누어지기도 하지요. 이미 많이들 아시겠지만, 크게 이러한 종류 중에는 우드(wood) -요즘은 사실 메탈(metal)이죠 -, 하이브리드(hybrid), 아이언(iron), 웨지(wedge) 그리고 퍼터(putter)가 있습니다.
출처 : globalgolf.com
각각의 클럽들은 개별적인 로프트(loft)와 클럽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모든 클럽이 사실 다 다르게, 정확히는 균등한 간격의 거리로 달리 보내지는 것이 이상적인 것이지요. 또한 클럽의 종류에 따라서 샷의 목적과 사용하는 장소가 다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롱 게임(long game)으로 대표되는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목적과 특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이야기의 관점이 장비의 물리적인 특성 보다는 샷의 특성에 좀 더 집중을 하려고 하니 요즘 다양한 기술로 발전하는 장비의 특성으로 이야기가 확대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드라이버, 아이언 샷 차이
위에서 언급했듯이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은 소위 풀 스윙(full swing)을 하여 공을 멀리 보내는 샷으로 롱 게임(long game)이라고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대략 100야드 안쪽에서 그린을 향하여 풀 스윙 보다는 컨트롤 하는 샷 형태를 숏 게임(short game) 영역이라고 합니다. 풀 스윙(full swing)을 하는 관점에서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은 모두 거리를 충분히 보내기 위한 클럽으로 볼수 있지만, 두 클럽은 샷의 목적으로 보자면 명확히 차이를 나타냅니다. (간혹 아이언 티샷을 하거나 드라이버로 컨트롤 샷을 하는 경우의 특수한 상황은 제외한 일반적인 샷의 특성을 이야기 합니다.)
티잉 그라운드에서 호쾌하게 날리는 드라이버 샷은 일반적으로 파4, 파5와 같이 한번에 그린을 공략하기에 힘든 거리에서 첫번째 샷으로 사용을 하게 됩니다. 골프가 거리와 방향의 게임으로 대표되는데 여기서 드라이버 티샷은 거리적인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하지요. 로프트도 낮고 - 보통 남자의 경우 9~10.5도, 여자의 경우 10.5~13도 - 클럽 길이도 가장 길어서 원심력도 크기 때문에 상당한 거리를 보낼 수 있는 클럽이지요. 만약 방향이 크게 잘못 되지 않는다면 이 클럽은 대체로 멀리 보내면 보낼 수록 좋은 클럽입니다. 그러기에 많은 광고에서 '비거리', '고반발', '장타' 등의 키워드를 사용하기도 하지요.
아이언 샷만의 특징!
반면 아이언 샷은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 아이언 샷의 경우 대체적으로 그린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또한 사람에 따라서 매번 아이언 보다는 우드나 하이브리드, 드라이버가 장타인 경우엔 웨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이언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레이가 골프 홀 디자인에 좀 더 재밌는 플레이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그런 형태로 플레이 되도록 홀 디자인이 되어 있기도 하구요.
그린 또는 홀을 목적으로 하는 샷 측면에서 보자면 홀의 위치는 현재 있는 공의 위치에서 특정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있습니다. 드라이버 샷의 경우 방향이 맞으면 가급적 거리가 많이 가는 것이 좋지만, 아이언 샷의 경우엔 방향 뿐만 아니라 거리도 정확히 맞아야 잘 쳤다고 할 수 있으니 샷의 결과적인 측면에서는 드라이버 샷 보다 훨씬 엄격한 기준인 것이 되는 것이죠.
포물선 운동을 하는 공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공은 땅에 떨어진 후 날아간 방향으로 계속 튕겨서 좀 더 굴러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때에 따라서 맞바람이 불거나 땅이 너무 물렁하여 공이 박히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는 공이 진행 방향으로 더 굴러 가는 것이지요. 그린의 특정 부분 또는 홀에 최대한 가깝게 공을 위치 시키기 위해서는 공이 굴러가는 부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공이 떨어지는 부분에 의해서 튀는 방향과 정도 그리고 굴러가는 정도를 예측하는 것이 아주 어렵기 때문이지요.
그루브(grooves)와 백 스핀(back spin)
여기에 아이언 샷의 핵심이 있습니다. 모든 클럽이 그린과 홀을 향해서 원하는 위치에 떨어뜨릴 수도 있겠지만, 다른 클럽 보다는 아이언 클럽이 가장 그러한 목적에 잘 맞게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아이언 클럽의 경우 자세히 보시면 클럽 페이스(면)에 가로로 줄이 많이 그어져 있습니다. 이것을 그루브(grooves)라고 하는데 이것이 있는 이유는 멋으로 보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실제 이 부분의 역할이 공과 클럽의 마찰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예전에 손 빨래를 할 때 사용하던 빨래판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좀 더 쉬울 수 있습니다. 빨래판을 자세히 보면 그냥 평평하지 않고 가로로 굴곡이 있는 줄이 규칙적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유는 빨래를 비빌때 빨래판과 마찰을 높여서 빨래의 때를 많이 지우기 위함이지요. 만약 빨래판이 밋밋하게 평평하다면 빨래 하는데 상당히 힘들 것이 쉽게 상상이 될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원리로 아이언 샷은 공과 클럽 페이스의 마찰력을 최대화 시켜서 공에 역회전이 걸려서 날아가는 동안에도 그리고 땅에 떨어지는 순간에도 공이 날아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 회전으로 공이 지면에 떨어진 이후에 진행 방향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최대한 적게 하는 역할을 하게 만들지요. 소위 이야기 하는 백스핀 량에 따라서 간혹 중계를 보면 공이 뒤로 굴러오는 것도 쉽게 볼 수 있지요.
출처 : golfdigest.com
선수들과 함께 다니는 캐디가 샷이 끝난 다음에 클럽을 닦을 때 그냥 수건으로 닦기도 하지만, 그루브 사이에 흙이나 풀과 같은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것을 제거하기 위해 특별한 도구로 열심히 파 내는 장면도 간혹 볼 수 있는데, 그 이유가 다음 샷에서 공에 정확한 스핀량을 주기 위해 정돈 하는 작업인 것입니다. 아마추어 골퍼들의 경우 대체적으로 라운드 끝난 후 캐디가 닦아 주기도 하지만, 잘 관리를 안 하는 분들은 그루브 청소가 잘 안되어 있는 경우도 많이 있지요.
그런데, 이러한 백스핀은 그냥 아이언 클럽으로 샷을 한다고 그냥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소위 이야기하는 다운스윙 궤도에서 공이 먼저 클럽에 맞고 나서 공의 타겟 방향쪽 앞쪽의 땅을 훓고 지나가는 형태의 다운 블로우(down blow) 샷이 되어야 그루브에 최대한 마찰을 걸 수 있는 샷의 형태가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아마추어의 경우 이러한 스윙 궤도를 만들지 못하기에 공에 스핀을 주지 못하고 결과로서 공은 원하는 위치에 서거나 뒤로 오지 않는 것이지요.
위의 글에서도 자세히 설명을 해 놓고 있는데, 많은 경우 백스윙 탑에서 내려오며 코킹이 빨리 풀리게 되는 캐스팅(casting) 현상으로 인해 임팩트가 되기 전에 이미 스윙 궤도는 지면에 가깝게 평평하게(flat) 들어오기에 예리하게 공을 먼저 임팩트 하는 다운 블로(down blow ; descending blow) 형태가 되기가 상당히 어렵게 됩니다. 그렇다고 인위적으로 이러한 자세를 만들다 보면 전체적인 스윙 측면에서 어색하기도 하고 과한 동작으로 몸이 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임팩트 방식과 공 위치 차이
공을 임팩트 하는 방식의 차이는 실제 셑업 자세에서 공을 치는 위치에서도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은 차이가 명확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아이언의 경우 다운스윙 과정에서 다운 블로(down blow) 형태로 임팩이 되는 것이 공을 원하는 위치에 세우기에 좋다면, 드라이버는 보다 먼 거리를 보내는 측면에서 어퍼 블로(upper blow; ascending blow) 형태로 맞아야 하기에 오른손 잡이 기준으로 공을 좀 더 왼쪽에 놓게 됩니다. 일반적인 레슨에서는 왼발 뒷꿈치 안쪽 정도의 위치에 놓도록 하지요.
선수들이 아이언 샷을 하고 난 이후에 잔디(디봇; divot)가 떨어져 날아가는 멋진(?) 장면을 보여 주는데, 고속 촬영으로 정확히 보게 되면 공을 맞고 공이 날아간 이후에 클럽은 비로서 최저점을 지나면서 땅을 파서 디봇을 만들어 날려 보내는 것이죠.
출처 : golfdigest.com
드라이버와 달리 아이언 클럽은 이처럼 거리와 방향이 모두 정확 할수록 잘 완성된 샷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다른 어떤 종류의 클럽 보다도 가지수도 가장 많은 것이지요. 왜냐면 다양한 거리에서 정확하게 거리를 맞춰서 공을 세울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언 클럽은 많이 있잖아요!
많은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아이언 샷으로 거리를 많이 보내려는 데 너무 집중과 연습을 하는 경우가 있지요. 물론 기본적인 거리가 나지 않는다면 그 또한 연습 해야 할 대상이겠지만, 남자의 경우 대략 7번으로 130야드 이상, 여자의 경우 7번으로 90야드 이상이라면 굳이 거리에 목숨을 걸고 연습을 하는 것 보다는 다양하게 가지고 있는 아이언으로 정확한 거리를 보내는 연습을 하시는게 더 좋은것 같습니다. 물론 아이언 클럽별 거리가 일정하려면 스윙이 일정하여야겠구요.
지금 하고 있는 아이언 샷 형태를 한번 생각해 보세요. 필드에서건 연습장에서건 거리에 목숨 걸고 멀리 멀리 보내려고 땀 뻘뻘 흘리고 계시진 않은지 또는 그러다가 몸이 상하거나 다쳐본 경험은 없는지.
이럴 때 자신의 골프백을 쳐다 보세요. 여러분의 손길을 기다리는 다른 아이언 클럽들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106. 마인드골프 블로그 3년과 숫자들 (0) | 2013.11.06 |
---|---|
[골프컬럼] #105. 골프에서 에티켓이란? (상) (0) | 2013.10.15 |
[골프컬럼] #103. 비거리 관점에서 골프 클럽 구성 방법과 기준 (6) | 2013.08.16 |
[골프컬럼] #102. 마인드골프 하루 최다 라운드(108홀) 도전기 (8) | 2013.08.06 |
[골프컬럼] #101. 골프를 잘 친다는 것은? 에티켓? (2) | 2013.07.25 |
[골프컬럼] #103. 비거리 관점에서 골프 클럽 구성 방법과 기준[골프컬럼] #103. 비거리 관점에서 골프 클럽 구성 방법과 기준
Posted at 2013. 8. 16. 08:30 | Posted in 골프 컬럼어떤 클럽을 바꾸고 추가해야 할까?
마인드골프 주변에서 클럽과 관련해서 많이 물어 보는 것 중에 하나가 어떤 클럽을 추가로 사야 하는지에 대해서 입니다. 아예 이제 시작해서 골프 클럽이 하나도 없어서 골프 클럽 자체를 사야 하기 시작해야 하는 사람도 있지만, 아이언, 드라이버 정도는 있는데 하이브리드, 우드, 웨지 같은 클럽을 어떤 형태로 구성해 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을 하거나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이 있는 듯 합니다.
출처 : eastbankclub.com
일반적으로 골프를 처음 시작할 때 사용하는 클럽이 아이언, 특히 이중에 7번을 많이 사용하게 되지요. 그러다 보니 아이언 세트를 먼저 장만하고 그 다음으로 드라이버, 퍼터, 웨지, 하이브리드 등의 순서로 장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모든 클럽이 다 있는 세트 형태로 준비하여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개인의 성향과 경제적인 여건 등 다양한 요인이 있기에 무엇이 맞다고 이야기 하기는 어렵지요.
이번 글의 내용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의 클럽 구성 보다는 이미 기본적인 클럽인 아이언, 드라이버 그리고 퍼터 정도가 있는 상태 또는 모든 클럽 구성이 된 상태에서 클럽을 추가로 넣거나 뺄 때 어떤 기준과 관점으로 생각하고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골프는 거리와 방향의 운동
여러번 컬럼을 통해서 얘기를 한 것처럼, 골프는 크게 거리와 방향의 운동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 중에 하나라도 원하는 형태가 되지 않으면 결과는 그다지 좋다고 이야기 할 수 없지요. 이중 클럽을 선택하는 기준 중에 많은 사람들이 '거리'에 비중을 많이 두지요. 그래서 많은 클럽 광고에서도 '남자는 비거리', '거리를 지배하는 자가 골프를 지배한다', '고반발 비거리 증가' 등의 카피를 사용하지요.
매 홀마다 한정된 파(PAR) 거리가 있기에 많은 거리를 보내게 되면 유리한 것은 당연한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재밌는 것은 방향이 전제 되지 못한 상태에서의 거리는 크게 의미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특히 드라이버의 경우 상당히 멀리 보내는 클럽이기에 처음 공이 출발할 당시에 조금이라도 방향이 틀어진다면 150, 200, 250 야드 밖에서 자신이 겨냥 했던 위치에서 벗어나는 정도는 점점 더 커지기 마련이기 때문이죠. 심지어 거리가 조금 짧았다면 살아 있을 수 있었던 공이 더 많은 비거리로 인해서 해저드, OB 등의 지역으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오른손 잡이 기준으로 왼쪽으로 심하게 휘는 샷을 훅(hook), 조금 왼쪽으로 휘는 샷을 드로우(draw), 오른쪽으로 심하게 휘는 샷을 슬라이스(slice), 조금 오른쪽으로 휘는 샷을 페이드(fade)라고 하지요. 그리고 여기에 농담으로 가운데로 정확하게 직선으로 날아가는 샷을 기적(miracle)이라고 합니다. 이 우스개 이야기에 담긴 내용도 골프에서 샷을 직선으로 정확하게 날리는 것은 실제로 어렵다는 것이죠. 대부분의 샷을 자세히 보면 완전히 정확하게 직선으로 날아가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죠.
드라이버와 아이언 사이
드라이버와 아이언이 있는 상태에서 우드나 하이브리드/유틸리티 클럽을 새로 장만하거나 교체할 때 우리는 어떤 고민을 해야 할까요? 무조건 멀리 칠 수 있는 클럽을 선택하시나요? 마인드골프가 선택하는 기준은 이렇습니다. 드라이버 비거리와 아이언에서 가장 긴 클럽의 비거리를 어떻게 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채울 것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가장 긴 아이언 보다 무조건 멀리 보낼 수 있는 클럽의 선택 보다는 그 사이의 구간을 등간격으로 채울 수 있는 형태가 좋다는 것이죠.
출처 : turner.com
예를 들어 드라이버 비거리가 240야드이고, 가장 긴 4번 아이언이 180야드라고 한다면 180 ~ 240야드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촘촘하게 등간격으로 채울 수 있는 클럽 구성이 되면 좋겠지요. 이 구간에 사용할 수 있는 클럽이 우드와 하이브리드가 있으니 이 60 야드의 갭(240-180=60)을 3 또는 4개의 하이브리드와 우드의 조합으로 채워가면 좋을 것입니다. 4개 정도의 클럽을 사용한다면 15야드 간격이겠고, 3개 클럽이라면 20야드 간격이 되겠지요. 전체 클럽이 최대 14개 구성이 되기에 다른 클럽의 갯수를 고려해서 구성하시면 되겠지요.
아이언과 웨지 사이
다음으로 아이언으로 칠수 있는 최소 거리 아래쪽의 거리를 채워가는 클럽인 웨지도 이와 비슷한 형태로 구성을 하면 좋습니다. 다만 웨지는 풀스윙을 하는 클럽이라는 생각 보다는 이 보다 작은 스윙으로 컨트롤 하여 거리를 보내는 스윙이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왜냐하면 9번 아이언으로 보내는 거리 아래쪽을 몇개의 클럽으로 공략이 가능해야 하고 게다가 이 클럽들은 실제 홀을 직접 공략하는 형태의 샷들이 될 가능성이 높기에 최대한 정확해야 좋은 스코어로 연결이 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예를 들어 9번 아이언으로 보내는 거리가 120야드라고 한다면 0 ~ 120 야드 사이의 거리를 적게는 2개 많게는 4개 - 정말 많게는 5개지만, 그렇게 많이 가지고 다니는 경우는 많지 않음- 로 이 구간을 커버해야 하기에 풀스윙 만으로는 가지고 있는 클럽의 갯수 만큼 밖에 보낼수 없습니다.
여러개의 웨지를 가지고 조금씩 다른 스윙 크기로 이러한 다양한 거리를 채워야 하기에 소위 얘기하는 숏게임(short game)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아마추어의 경우 처음 골프를 시작할 때 스코어의 상당 부분이 100야드 안쪽의 샷과 퍼팅으로 인한 것임은 이미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 이유가 풀스윙으로 채워질 수 없는, 어떻게 보면 정말 많은 연습을 통해 스윙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쳐야 하는 감각적인 골프를 해야 하는 구간이기 때문이죠.
출처 : acushnet.scene7.com
일반적인 웨지의 선택은 자신의 클럽 중 가장 짧은 아이언인 9번 또는 아이언 세트와 같이 있는 피칭웨지의 로프트를 보고 이 클럽세트의 로프트 간격에 맞게 - 대략은 3도 또는 4도 차이 - 나머지 웨지를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요즘은 장비 회사마다 로프트가 조금씩 다르게 구성이 되는데요.
전통적으로 피칭 웨지(Pw)가 48도 였던 것이었다면 요즘은 44, 45도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피칭 웨지가 44도 라면 48, 52, 56, 60 이런 단위로 웨지를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일 것입니다. 웨지의 경우 이런 로프트 이외에도 50, 54, 58, 64 등의 로프트도 있기에 자신의 거리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치하면 좋을 것이구요. 참고로 로프트가 높은 클럽 일수록 높이 뜨는 대신 비거리는 적을 수 밖에 없기에, 초보자이고 자신의 스윙이 일정하지 않은 분일수록 상대적으로 로프트가 낮은(덜 뜨는) 클럽으로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좋은 접근이라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보기에는 살짝 떠서 날아가는 모습이 좋지만, 실수를 한다면 그에 따른 피해가 크기 때문이지요.
내 클럽 구성은 어떤가?
자신의 현재 클럽 구성이 각 거리별로 얼마만큼의 간격이 있고 각 구간의 차이가 많이 빈 곳이 어딘지를 잘 생각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한번 아래와 같이 자신의 클럽별 거리를 체크해 보고 어디 구간이 가장 넓은지, 일정한지를 한눈에 보고 계속 관리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같네요.
|
D |
3W |
2H |
3H |
4I |
5I |
6I |
7I |
8I |
9I |
Pw |
Aw |
Sw |
Lw |
거리 |
250 |
220 |
200 |
190 |
180 |
170 |
160 |
150 |
140 |
130 |
120 |
100 |
80 |
60 |
다시 한번 이야기를 드리지만, 방향이 보장 되지 않는 비거리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운동과 달리 골프에서는 최대 14개의 클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 클럽으로 멀리 보내려는 노력 보다는 각 클럽간의 거리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 되는 것이 일정하고 안정적인 골프에 더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골프 스코어가 위 아래로 춤을 추고, 비거리가 들쭐날쭉 하는 만큼 우리의 골프 라운드에서의 마인드골프에도 위, 아래로의 움직임이 커서 정신 건강에도 좋지 않겠지요.
골프 클럽은 우리가 일정한 힘을 줄 때 일정한 거리와 간격으로 날아가도록 설계 되어 있으니까요.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105. 골프에서 에티켓이란? (상) (0) | 2013.10.15 |
---|---|
[골프컬럼] #104. 드라이버와 아이언 샷의 오해와 진실 (2) | 2013.10.03 |
[골프컬럼] #102. 마인드골프 하루 최다 라운드(108홀) 도전기 (8) | 2013.08.06 |
[골프컬럼] #101. 골프를 잘 친다는 것은? 에티켓? (2) | 2013.07.25 |
[골프컬럼] #100. 건질 것이 있는 샷을 하자! (0) | 2013.06.26 |
[라운드기록] 2013.6.18 @Glen Ivy Golf Club[라운드기록] 2013.6.18 @Glen Ivy Golf Club
Posted at 2013. 6. 20. 08:25 | Posted in 라운드 기록- 파 72
- 라운드 1 : 전반 0, 후반 +2, +2로 74타
- 라운드 2 : 전반 +4, 후반 -1, +3로 75타
- 분포
- 1라운드 : 버디 3, 파 10, 보기 5
- 2라운드 : 버디 2, 파 11, 보기 5
- 페어웨이 적중
- 1라운드 : 10 / 14
- 2라운드 : 9 / 14
- 그린 적중(GIR)
- 1라운드 : 9 / 18
- 2라운드 : 9 / 18
- 샌드세이브
- 1라운드 : 0 / 3
- 2라운드 : 0 / 1
- 스크램블링
- 1라운드 : 4 / 9
- 2라운드 : 4 / 9
- 퍼팅 수
- 1라운드 : 26
- 2라운드 : 28
- 1라운드는 아침 7시에 시작해서인지 몸이 좀 풀리지 않을 것이라는 걱정이 좀 있었으나 오히려 샷감은 훨씬 좋았음
- 1번홀에서 드라이버가 조금 빗겨 맞긴 했는데, 그래도 페어웨이를 잘 지켰고 가볍게 파로 시작하여 7번홀까지 연속 파 행진하여 이때쯤 혹시 18번 모두 파 기록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8번홀에 버디 하며 기록은 날아감
- 9번홀 파3 워터해저드에 들어갔으나 잘 붙여서 보기로 전반 9홀 마감
- 드라이버 샷은 전체적으로 거리와 방향 모두 좋았음
- 1라운드에서 아이언 샷감이 아주 좋았음
- 그린이 매우 빨라서 공을 세우기가 만만찮았고 퍼팅 감을 익히기에도 시간이 걸렸으나 최대한 안정적인 펏을 하려고 노력
- 아쉬운 것은 후반 15, 16, 17번 홀을 연속으로 보기하며 마무리 흐름이 좋지 않았음
- 그러나 18번홀 버디로 1라운드 기분좋게 마감
- 식사 후 2라운드 시작
- 기온이 많이 올라 첫 라운드 보다 조금 더웠음
- 바람이 많이 불어서 맞바람인 홀은 거리가 덜 나가서 첫번째 라운드 보다 대체로 한 두 클럽씩 길게 잡아야 했음
- 전반 시작이 2,3번홀 보기로 출발이 좋지 않았음
- 아이언 정확도가 좀 떨어지면서 전반 GIR이 2/9 밖에 되지 않았음
- 후반들어 아이언이 괜찮아지면서 GIR도 좋아져서 전반의 부진을 만회함
- 두 라운드 모두에서 벙커샷이 가장 안 좋았음
- 샌드세이브 성공한 샷이 한번도 없었음
'라운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운드기록] 2013.7.19 @Green River Golf Course (0) | 2013.07.23 |
---|---|
[라운드기록] 2013.6.30 @Tustin Ranch Golf Club (0) | 2013.07.03 |
[라운드기록] 2013.5.31 @Cross Creek Golf Club (0) | 2013.06.05 |
[라운드기록] 2013.5.24 @Green River Golf Club (0) | 2013.05.30 |
[라운드기록] 2013.5.23 @Mile Square Golf Course (The Classic) (0) | 2013.05.30 |
[라운드기록] 2013.5.12 @Talega Golf Club[라운드기록] 2013.5.12 @Talega Golf Club
Posted at 2013. 5. 18. 11:04 | Posted in 라운드 기록한국에서 오신 손님과의 두번째 라운드였네요. 미국은 Mother's Day라고해서 골프장에는 사람이 많지 않았네요. 오랫만에 더운 날씨라서 그런지 생각보다 많이 덥더군요. 그래도 골프장에 사람이 없어서 편안하게 라운드 하니 손님도 부담 없이 잘 라운드 했네요.
- 파 72 : 전반 -3, 후반 +3, E로 72타
- 버디 4, 파 10, 보기 4 기록
- 페어웨이 적중 : 5 / 13
- 그린 적중(GIR) : 9 / 18
- 퍼팅 수 : 27
- 스크램블링 : 5 / 9
- 최근 들어 퍼팅감이 가장 좋았던 라운드
- 특히 전반 9홀에서는 무려 1펏을 6개 하면서 버디 4개
- 7번홀까지 4언더파를 기록하며 라이프 베스트에 대한 생각을 갖게 됨
- 이후 나머지 11개 홀에서 보기를 4개 하며 아쉽게 E으로 마감 했지만, 라운드 전체적으로 맘에 들었던 라운드
- 특히 후반 파5 두번다 티샷이 헤저드에 들어갔으나 모두 파로 마무리 하는 등 경기를 잘 풀어감
- 드라이버를 예전에 사용하던 것으로 바꾸어서 플레이해서 그런지 드라이버 비거리도 그렇고 훨씬 편안 함
- 당분간 이 드라이버로 플레이 하는 것이 좋을 듯
- 2번홀 파5에서는 4미터 이글 펏 찬스도 있었는데 아쉽게도 버디로 마감 함
'라운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운드기록] 2013.5.23 @Mile Square Golf Course (The Classic) (0) | 2013.05.30 |
---|---|
[라운드기록] 2013.5.17 @Mile Square Golf Course (The Players) (0) | 2013.05.22 |
[라운드기록] 2013.5.10 @Mile Square Golf Course (The Classic) (0) | 2013.05.12 |
[라운드기록] 2013.5.9 @Monarch Beach Golf Links (0) | 2013.05.11 |
[라운드기록] 2013.4.26 @Rancho San Joaquin Golf Course (0) | 2013.05.01 |
[라운드기록] 2013.3.5 @Costa Mesa Country Club[라운드기록] 2013.3.5 @Costa Mesa Country Club
Posted at 2013. 3. 8. 08:30 | Posted in 라운드 기록한동안 날씨가 따뜻하더니 라운드 내내 해를 볼수 없는 조금은 쌀쌀한 날씨였습니다. 주변 지인들과 같이 3명이서 라운드를 했습니다.
- 파 72 : 전반 +2, 후반 +3, +5로 77타
- 버디 2, 파 11, 보기 3, 더블보기 2 기록
- 페어웨이 적중 : 10 / 13
- 그린 적중(GIR) : 8 / 18
- 퍼팅 수 : 29
- 샌드세이브 : 1/2
- 스크램블링 : 7/10
- 지난번 라운드에서 아이언 샷감이 조금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연습하고 나서 좀 나아진 느낌. 그래도 아직 완전히 돌아오진 않았음
- 드라이버는 이제 많이 나아졌으나 예전에 없었던 페이드 구질이 자주 나오고 있음
- 평상시 잘 맞던 하이브리드가 이날 따라 푸시성 페이드가 생겨서 좀 고생했음
- 심지어 파3에서 미스샷이 나와서 물에 빠져 더블보기를 함
- 마지막 홀에서도 페어웨이에서 친 샷이 나무 뒤쪽으로 갔다가 나무 밑으로 한 샷이 벙커에 들어가고 벙커에서 공이 직접 맞으면 더블보기를 하게 되는 계기가 됨
- 오랫만에 더블보기를 두개 한 라운드. 반성.
- 퍼팅 감은 좋았음
- 버디성 퍼팅을 홀 주변에서 살짝 많이 놓침
- 스크램블링을 잘 한 것도 스코어를 줄이는데 많이 도움이 됨
'라운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운드기록] 2013.3.11 @Wilson Golf Course (0) | 2013.03.15 |
---|---|
[라운드기록] 2013.3.7 @Rancho San Joaquin Golf Course (0) | 2013.03.10 |
[라운드기록] 2013.2.21 @Mile Square Golf Course (The Classic) (0) | 2013.02.24 |
[라운드기록] 2013.2.15 @Green River Golf Club (0) | 2013.02.17 |
[라운드기록] 2013.2.7 @Rancho San Joaquin Golf Course (0) | 201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