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82샷. "잠정구" 한마디 깜빡하고 4벌타 받은 박민지 사연[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82샷. "잠정구" 한마디 깜빡하고 4벌타 받은 박민지 사연
Posted at 2021. 9. 24. 08:19 | Posted in 동영상/품격있는 시사 골프이야기KLPGA 대회에서 박민지가 프로비저널볼(잠정구) 규정을
정확하게 지키지 않아 한홀에서
무려 4타의 벌타가 추가되었는데요.
파5에서 퀴튜플 보기(일명 양파)를 한 사연을
소개하며 관련한 룰을 이야기 합니다. ^^
'동영상 > 품격있는 시사 골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81샷. 본인 사망 빼고는 지켜야 하는 골프 약속 ^^ (0) | 2021.09.15 |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80샷. 여름철 라운드에서 일사병과 열사병 피하는 법 (0) | 2021.09.03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79샷. 라운드 중 골프채가 파손되면? (0) | 2021.08.16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78샷. 캐디 동반 찬성 vs 반대 (0) | 2021.07.29 |
[마인드골프의 시사골프 이야기] 77샷. 노캐디로 카트 끄는 플레이. 득이 많나? 실이 많나? ^^ (0) | 2021.07.23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3샷. 공이 나무 위에 걸리면?[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3샷. 공이 나무 위에 걸리면?
Posted at 2020. 11. 18. 20:03 | Posted in 동영상/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자주 있는 일은 아니지만 라운드 하는 중에
또는 선수들 중계를 보다가
나무 위에 공이 걸려 있는 경우를 볼 때가 있지요.
이런 경우 어떤 골프 룰에 따라서 어떻게 플레이 하면 될까요? ^^
'동영상 > 골프상식사전 저자 직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5샷. 벙커에서도 언플레이어블 볼 선언할 수 있나? (0) | 2020.12.02 |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4샷. 일시적인 고인물에 공이 들어가면? (0) | 2020.11.25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2샷. 티업한 공이 치기 전에 떨어지면? (0) | 2020.11.15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1샷. 골프 규칙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0.11.03 |
[마인드골프 골프상식사전 저자직강] 40샷. 내가 주인공인 플레이를 하자 (0) | 2020.10.29 |
[골프컬럼] #63. 오비(OB) 지역 지정과 오비 티 (OB Tee)에 대한 생각[골프컬럼] #63. 오비(OB) 지역 지정과 오비 티 (OB Tee)에 대한 생각
Posted at 2011. 11. 30. 10:33 | Posted in 골프 컬럼같이 동반하신 골퍼께서 티 샷을 OB를 낸 이후에 OB 티에서 치게 되었는데, OB 티에서 티를 꼽고 마치 티샷을 하는 상황이 발생 했습니다. 문제는 주변 분들에게 양해를 구하지도 않고 그냥 치고 나가시고 이것은 룰상 원래 그렇게 해도 된다고 주장을 했습니다. 이런 룰이 있는 것인지요? 그리고 없다면 통상적으로 티를 꼽고 쳐도 되는 것인지요?
먼저 이것에 대해서 알려면 OB란 규정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겠지요. OB는 Out of
그러니 OB가 되었다고 판정이 나게 되면 그 공으로는 더 이상 경기 진행을 하지 못하고 OB 규정상 바로 전에 OB를 냈던 곳에서 다시 공을 쳐야 합니다. 헤저드와 가장 크게 다른 점이구요. 그래서 자신이 친 공이 OB 지역 근처로 날아갔다면 잠정구(Provisonal Ball)를 치고 가야 합니다. 그래야 첫번째 친공이 OB일 경우에 두번째 친 잠정구로 플레이를 해야 하니까요. 그렇지 않으면 규정상 다시 쳤던 곳까지 뒤로 가야 하니까요. 그리고 타수는 첫번째 친 1타, OB가 나서 벌타 1타 그래서 OB가 난 곳에서 다시 치는 타수가 3번째가 됩니다.
선수들의 경우는 이렇게 플레이를 하고, 대부분의 아마추어의 경우 - 특히 한국 골프장에서의 경우엔 - 티샷이 OB가 나게 되면 OB 티란 곳에 가서 4번째 타수를 치게 됩니다. (위에 3타가 어떻게 나오는지는 설명이 되어 있지요?) 한국 골프장이 지형의 특성상 작고 그리고 제한된 시간안에 정해진 손님들을 소화하기 위해서 신속한 진행을 하려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생긴 특이(?)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멋쟁이골퍼가 있는 미국에서는 OB 지역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고, 설령 OB가 있는 곳이라도 OB 티가 존재 하지는 않습니다.
출처 : playbuzz.com
어찌 보면 이미 OB 난 상황에 야박하게 보일수도 있으나,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우에 상황을 최대한 논리(?)적으로 판단해 보면 이렇게 하는게 관행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마추어 골프에서 같이 치는 동반자들과 미리 로컬룰을 만들어서 적용하는 것도 좋을거 같네요. 예를 들어 디봇에 들어가면 옆으로 리플레이스 해서 친다던가, OB 티에서는 선택에 따라 티를 사용할 수 있다던가 처럼 말이죠. 그러면 논란의 여지가 덜 해지겠지요.
이 내용과 관련해서 저와 골프에 대해서 얘기하는 트위터 팔로워(http://twitter.com/mindgolfer)들과 얘기를 나눠봤는데요. 얘기하다가 나온 얘기가 왜 한국에는 OB 지역이 많은가? 입니다. 어떻게 보면 신속한 진행을 위해서 그렇게 한 것 같기도 한데, 어차피 진행을 하는 차원에서는 OB 보다는 헤저드 지역으로 해 놓는게 어떨까 하는 얘기가 나왔습니다. 생각해 보면 벌타를 받는 차원에서도 1타를 이득 볼수 있을 수 있겠구요. 물론 헤저드로 지정하더라도 헤저드 위치에 따라서 OB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요. 그러면 티잉 그라운드에서 티샷을 할 때도 상대적으로 OB에 대한 부담감이 덜하니 샷이 더 잘 되지 않을까 하는 약간의 소망도 생각해 봅니다.
골프장에서는 홀의 많은 부분을 OB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에 다른 이유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혹시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OB 보다는 헤저드 형태로 지정을 하는게 좋지 않을까 기대를 해 봅니다. 얘기를 듣자하니 일부 골프장에서는 이렇게 OB를 헤저드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더 많은 골프장이 동참하였으면 좋겠네요. ^^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65. 아마추어 골퍼를 위한 대한민국 최초 골프 전문 팟캐스트(Podcast) (0) | 2012.01.08 |
---|---|
[골프컬럼] #64. 골프 스코어와 기분의 상관관계 (2) | 2011.12.13 |
[골프컬럼] #62. 골프 팟캐스트(Podcast)와 마인드골프 SNS (6) | 2011.11.18 |
[골프컬럼] #61. 골프 첫경험. 머리 올리기 (6) | 2011.11.15 |
[골프컬럼] #60. 골프 핑계, 징크스 그리고 멘탈 (0) | 2011.10.25 |
[골프상식] #58. 로스트볼 vs 잠정구?[골프상식] #58. 로스트볼 vs 잠정구?
Posted at 2011. 5. 24. 08:56 | Posted in 골프 상식출처 : concordmonitor.com
사실은 이러한 상황에서는 공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잠정구(Provisional Ball)을 치고 가는게 맞는 것이죠. 물론 아마추어 세계에서는 꼭 그렇게 지켜지지만은 않지만 말이죠. 참고로 잠정구에 대해서는 전에 썼던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구요.
그럼 이런 경우는 어떻게 될지를 한번 생각해 보지요. 어떤 골퍼가 파3에서 티샷을 멋지게(?) 날렸습니다만, 안타깝게도 숲으로 공이 날아가 버렸습니다. 위에 얘기한대로 이 골퍼는 잠정구를 하나 치겠다고 선언을 하고 잠정구를 정말 멋지게 날려서 홀 근처에 바짝 붙였습니다. 이 골퍼가 어떤 생각을 했을지는 다들 아시겠지요? 아마도 첫번째 친 공을 찾고 싶어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골프 규정은 어떻게 적용이 될까요?
첫째, 골퍼 당사자는 공을 찾을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이 공을 5분 내에 찾고 그 골퍼가 잠정구로 다음 샷을 하기까지 그 공은 로스트볼로 처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27-1. 스트로크와 거리; 아웃 오브 바운드 볼; 5분 이내에 발견되지 않은 볼 (Stroke and Distance; Ball Out of Bounds; Ball Not Found Within Five Minutes)
c. 5분 이내에 발견되지 않은 볼
볼이 플레이어 편이나 그들의 캐디가 볼을 찾기 시작하여 5분 이내에 볼이 발견되지 않거나 플레이어가 자신의 볼로 확인하지 못해서 볼이 분실된 경우 플레이어는, 1벌타를 받고, 원구를 최후로 플레이했던 지점에 되도록 가까운 곳에서 볼을 플레이하지 않으면 안 된다(규칙20-5 참조).
27-2. 잠정구 (Provisional Ball)
b. 잠정구가 인 플레이 볼로 되는 경우
플레이어는 원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곳에 도달할 때까지 잠정구를 몇 번이라도 플레이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원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장소에서 또는 그 장소보다 홀에 더 가까운 지점에서 그 잠정구를 스트로크한 경우 원구는 분실구가 되며 그 잠정구는 스트로크와 거리의 벌을 받고 인 플레이 볼로 된다(규칙27-1)
첫째, 골퍼 당사자는 공을 찾을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이 공을 5분 내에 찾고 그 골퍼가 잠정구로 다음 샷을 하기까지 그 공은 로스트볼로 처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둘째, 자신이 공을 찾는 것을 포기할 수는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공을 찾거나 찾을 공을 확인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을 거부할 수는 없습니다. 아마추어 골프에서는 별로 그런일이 없겠지만, 간혹 빡시게 내기 하시는 분들의 경우엔 이런 경우로 이슈가 될 수 도 있을 수 있겠네요.
세째, 공이 대략 워터 헤저드로 들어간 것이 거의 확실하면 그 것은 워터 헤저드로 인한 페널티를 1타 벌타로 받고, 그 다음에 친 공으로 경기를 계속 진행하면 됩니다. 이럴 경우엔 잠정구라고 얘기할 필요는 없겠지요.
규정에 의한 말이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위와 같은 기준으로 잠정구와 로스트볼을 구분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60. 매치플레이에서 도미(Dormie)란? (0) | 2011.07.11 |
---|---|
[골프상식] #59. 공을 닦을 수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2) | 2011.06.03 |
[골프상식] #57. 경사면에 앉아 있는 갤러리에 걸린 공 (0) | 2011.05.19 |
[골프상식] #56. 퍼팅 어드레스 시 바람이 많이 불면 잠시 기다리세요. (0) | 2011.05.06 |
[골프상식] #55. 홀을 정면으로 보고 퍼팅을 해도 되는가? (2) | 2011.04.26 |
[골프상식] #17. 잠정구(Provisional Ball)를 아십니까?[골프상식] #17. 잠정구(Provisional Ball)를 아십니까?
Posted at 2010. 12. 2. 10:05 | Posted in 골프 상식라운드를 하다보면 친 공이 사라지거나 찾을 수 있을지 애매한 지역에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까운 지역인 경우야 금방 가보고도 알수 있겠으나, 티샷이나 아이언샷과 같이 거리가 좀 되는 경우엔 잠정구라는 것을 치고 가는 것이 좋지요. 특히 OB의 경우는 더더욱 그렇구요.
출처 : fbcdn-sphotos-b-a.akamaihd.net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19. 포섬, 포볼, 스크램블 플레이 (0) | 2010.12.12 |
---|---|
[골프상식] #18. 갤러리(Gallery)의 어원 (0) | 2010.12.08 |
[골프상식] #16. 그린 주변에서 플레이 순서 (0) | 2010.11.25 |
[골프상식] #15. 벙커 주변 고무래에 공이 걸린 경우는? (0) | 2010.11.22 |
[골프상식] #14. 골프공이 땅에 묻힌 경우 (0) | 201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