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골프컬럼] #83. 골프 룰(Rule)과 로컬 룰(Local Rule) 적용
Posted at 2012. 10. 25. 09:13 | Posted in 골프 컬럼'화단에 들어간 공 구제 받을 수 있지?'
'여기 물이 좀 있는 페어웨이에 떨어진 공 무벌타로 칠 수 있나? 공도 닦을 수 있나?'
'내 공이 바로 펜스에 있는데 이 공 구제 받을 수 있나?
골프 라운드를 하다 보면 이와 비슷한 상황이 많이 있을 수 있지요. 해저드(Hazard), OB(Out of Bounds), 워터 해저드와 같은 경계가 되어 있거나 표시가 되어 있는 지역은 누구나가 보기에 명확하기에 많이들 알고 있는대로 골프 룰을 적용하여 벌타를 받고 진행하거나 다시 원위치로 가거나, 잠정구를 치는 등의 플레이를 진행하면 된다.
출처 : e-golfnews.com
그러나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자주 발생하지 않거나 애매한 상황이 있는 경우도 종종 발생을 합니다. 당사자를 포함해서 동반자들도 모두 정확히 이 룰에 대해서 어떻게 적용을 할지를 정확히 모를 경우에 과연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어떤 분들은 동반자들과 이 경우는 이렇게 하자고 그자리에서 합의(?)하여 진행하시는 분들도 있고, 좀 안 좋은 경우에는 서로 자신의 주장이 맞다고 하며 때아닌 필드에서 토론을 하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급기야 언성이 높아지며 얼굴을 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내기가 걸렸을 경우엔 더 심할 수 있지요.
마인드골프는 항상 골프백에 룰북을 가지고 다니는데요. 아무래도 주변에서 이런 애매한 상황을 여쭤보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그렇게 가장 좋은 것은 모든 골퍼가 골프 룰을 다 알고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상 그렇게 될수는 없지요. 그래서 대안으로 좋은 방법은 골프백에 룰북을 가지고 다니시는 것도 좋겠고, 요즘은 스마트폰용 앱으로도 룰북을 설치해서 가지고 다닐 수 있습니다.
골프룰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공식 룰과 로컬 룰이란 것이 있습니다. 공식 룰은 R&A(Royal & Ancient; 영국 왕실 골프 협회)와 USGA(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미국 골프협회)가 제정하고 4년에 한번씩 개정을 하고 있습니다. 올해 2012.1.1에 개정된 룰이 적용된 가장 최신의 룰이 현재의 룰이고 다음은 2016년에 4년 동안 논의하고 협의한 내용을 적용하여 개정을 하게 됩니다. 이 공식 룰은 모든 골프 투어 대회에서 기본적으로 적용이 되어 경기가 진행이 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하는 고스톱 놀이에도 지역마다 그리고 하는 사람들마다 그들 나름의 로컬룰(?)이 존재를 하지요. 이와 같이 골프에서도 골프장의 상황, 대회의 특성에 따라 로컬룰이 다르게 적용 됩니다. 한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로컬룰로 볼 수 있는 것이 오비 티박스(OB Tee Box)일 것입니다. OB는 공식 규정상 원래 쳤던 위치에서 벌타를 1타 부여 받은 후 쳐야 하는 것이 룰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골프장 특성상, 진행을 좀 더 원활하게 하기 위해 OB티라는 것을 만들어서 로컬룰로 적용을 하고 있지요.
최근에 있었던 PGA 대회 어느 골프장에서는 골프장에 벙커가 너무 많았는데 벙커에서도 클럽을 땅에 내려 놓고 어드레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룰을 정했던 적이 있습니다. 원래 규정으로는 벙커는 해저드의 종류이기에 해저드에서 클럽을 내려 놓을 수 없는 규정으로 벌타를 부여 받게 됩니다.
이렇듯 모든 골프장과 대회에서는 각 골프장과 환경의 특성에 따라서 로컬룰을 제정합니다. 자세히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러한 로컬룰은 보통 스코어카드 뒷면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마인드골프가 있는 미국 골프장의 한 스코어카드입니다. 한국은 주로 캐디가 스코어카드를 가지고 스코어도 일괄적으로 적기에 스코어카드를 자세히 볼 기회가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로컬룰은 공식룰과 어떤 관계로 적용이 될까요?
이미 위에 언급한 내용을 보시면 눈치를 채셨겠는데요. 이러한 로컬룰은 공식 룰에 우선해서 적용이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위의 스코어카드를 보시면 맨 위에 "아래 로컬룰을 제외한 나머지는 USGA룰을 적용한다.' 라고 표기가 되어 있지요. 그리고 적용되는 로컬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지요. 선수들이 하는 대회에서도 각 대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그 골프 대회에 적용되는 로컬룰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컬룰 중에는 잘 적용만 하면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벌타를 받을 수 있는 경우 무벌타로 진행이 되거나 무벌타에 프리 드롭(free drop)으로 구제를 받을 있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심지어 그린이 아니면서도 공을 닦을 수 있기도 하지요. 예전에 마인드골프가 경험했던 골프장 중에 하나는 골프장 가운데로 송전탑 사이로 전선들이 지나가는데, 샷이 그 전선을 맞으면 다시 플레이해야 한다고 써 있기도 했습니다.
출처 : golfgrinder.com
한국의 경우 캐디가 있기에 대부분의 로컬룰을 캐디가 숙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간혹 캐디들도 로컬룰을 모르는 경우도 있고 공식 룰에 대해서 다 알고 있지 않기에 당시에는 알아볼 수 없지만, 골프가 끝나고 한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그것도 귀찮으면 마인드골프에게 이메일(mentor@mindgolf.net)로 여쭤 보셔도 되구요.
다음번 라운드 가시면 꼭 스코어카드를 따로 하나 받아서 또는 살짝 스코어카드를 보고 로컬룰도 숙지하시고 플레이 하는 것도 좋겠네요. 아니면 어떤 특별한 상황이 되면 로컬룰을 찾아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니면 이 기회에 룰북 하나 장만 하시죠.
'골프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컬럼] #85. 기대가 많으면 실망도 크다. 마인드골프! (2) | 2012.11.23 |
---|---|
[골프컬럼] #84. 스윙 헤드 스피드(비거리)를 늘리고 싶으신가요? (2) | 2012.11.01 |
[골프컬럼] #82. 마인드골프 블로그 2년과 숫자들 (0) | 2012.10.04 |
[골프컬럼] #81. 골프스윙의 심리적 희비 순환 패턴 (4) | 2012.09.12 |
[골프컬럼] #80. 골프레슨에 대한 생각(3) : 관찰자 시점, 나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0) | 2012.09.07 |
[골프상식] #66. 골프 라운드중 GPS 사용은 룰 위반?[골프상식] #66. 골프 라운드중 GPS 사용은 룰 위반?
Posted at 2012. 1. 5. 08:42 | Posted in 골프 상식어느 정도 방향이 잡혔다 싶으면 그 다음으로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이 거리지요. 거리가 무조건 멀리 날아가는 것도 의미가 있겠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클럽들로 클럽간 간격이 일정하게 거리를 보낼 수 있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거리를 많이 보내지만, 클럽간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것 보다는 거리가 다소 짧더라도 간격이 일정한 것이 더 좋지요. 이 말은 뒤집어서 생각해보면 그만큼 자신의 스윙이 일정하다고 봐도 되는 것이지요. 스윙이 일정하기에 클럽의 로프트 만큼의 차이로 공이 날아가는 것일테니까요.
출처 : outdoorsportsgps.com
2011/02/14 - [골프컬럼] #21. 골프에서 거리와 관련된 모든 정보들
그럼 과연 GPS는 실제 정규 경기중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인가? 아마추어 골프에서는 뭐 이러한 부분에 까칠하게 할 필요가 있겠냐만은 실제 프로선수들이 하는 투어 대회에서는 보다 정확한 거리 정보는 보다 정확한 샷을 하여 타수를 줄이는데 심지어 우승을 할 수 있는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관련한 규정을 찾아보았는데요.
14-3. 인공의 기기(器機), 비정상적인 장비 및 장비의 비정상적인 사용 (Artificial Devices, Unusual Equipment and Unusual Use of Equipment)
주(註): 위원회는, 단지 거리만 측정하는 기기(器機)를 플레이어가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로컬룰을 제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거리를 측정하는 기기인 GPS는 골프 규정에서 항상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로컬룰에서 제정이 되면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 사항은 2008.1.1 부터 적용되는 룰입니다. 그러므로 대회가 열리는 투어에서 로컬룰로 허용을 하지 않을 경우엔 GPS를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요즘 좋은 GPS의 경우는 경사의 정도를 읽어서 그 경사를 감안한 거리를 제공해 주는 제품도 있는데, 이는 룰에 의하면 규정 위반이 됩니다. 위에 14-3에서 언급한 '단지 거리만 측정'이라는 조항에 위배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참고로 GPS를 가지고 있는 동반자와 거리 정보를 교환하는 것에 대한것도 궁금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얼마전까지는 규정 위반으로 2벌타를 받았었으나 개정된 규정에서는 벌타 없이 다소 완화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거리에 대한 정보 보다는 실제 그 거리를 얼만큼 잘 치는냐가 더 중요한 관점이라는 부분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uxcell.com
마인드골프는 거리 측정하기 위한 GPS는 따로 없구요. 가급적 눈과 주변에 있는 거리 관련 정보를 최대한 이용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간혹 처음 가는 골프장에 거리를 보기 힘들 경우는 스마트폰에 설치해 놓은 앱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아직까지 마인드골프는 골프를 그래도 아나로그 환경에서 이용하고픈 마음이 더 많은거 같아요. 하지만, 거리 보는데 익숙하지 않거나 미국처럼 캐디 없이 골프를 치는 경우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니 잘 활용하시면 보다 나은 골프를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68. 골프 샷을 하고 나서 공이 쪼개지면? (0) | 2012.04.06 |
---|---|
[골프상식] #67. 퍼터(Putter) 헤드 크기(사이즈) 기준 (0) | 2012.01.18 |
[골프상식] #65. 솔하임컵 (Solheim Cup)이란? (3) | 2011.09.23 |
[골프상식] #64. 두가지 색 이상인 골프공을 사용해도 되나? (0) | 2011.09.08 |
[골프상식] #63. 컷오프(cutoff) 기준 (0) | 2011.08.09 |
[골프상식] #59. 공을 닦을 수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골프상식] #59. 공을 닦을 수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Posted at 2011. 6. 3. 09:39 | Posted in 골프 상식우리 아마추어 골퍼들이 다들 아시는 것 중 하나는 그린 위에 위치한 공은 마크를 하고 나서 언제든지 집어 들어서 닦을 수 있습니다. 마크를 하지 않고 집어 들면 당연히 벌타가 있구요. 마크 한 이후에는 공을 닦고서 다시 마크한 곳에 놓고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한 홀을 끝내고 다음 홀 시작되는 그 사이에도 언제든지 공을 닦을 수 있겠죠.
하지만, 이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래와 같이 명백한 경우에만 닦을 수 있도록 되어 있구요. 일단, 공을 들어올릴 수 있는 상황인데도 아래와 같은 상황은 공을 닦을 수 없습니다.
- 자신의 공인지 확인하는 경우. 그러나, 필요한 만큼, 즉 자신의 공임을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최소한으로 공을 닦아낼 수도 있습니다. (For identification (Rule 12-2), in which case it may be cleaned only to the extent necessary for identification)
- 다른 플레이어의 방해를 줄수 있어 집어든 경우
- 공이 플레이 하기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들어 올린 경우
그러나, 인공 장애물이나 수리지등 구제가 가능한 지역에는 공을 닦을수 있으며 수리지나 혹은 윈터룰 적용에 의하여 로컬룰 상에서의 허락을 받는다면 공을 닦을수 있습니다.
가끔 라운드을 하다보면 이러한 룰에 대해서 서로 의견 충돌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제는 정확히 아시겠죠? ^^
항상 배려하는 골프 하세요. Don't Worry. Just Play MindGolf!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61. 골프 경기 중단과 재개는 어떻게? (0) | 2011.07.22 |
---|---|
[골프상식] #60. 매치플레이에서 도미(Dormie)란? (0) | 2011.07.11 |
[골프상식] #58. 로스트볼 vs 잠정구? (2) | 2011.05.24 |
[골프상식] #57. 경사면에 앉아 있는 갤러리에 걸린 공 (0) | 2011.05.19 |
[골프상식] #56. 퍼팅 어드레스 시 바람이 많이 불면 잠시 기다리세요. (0) | 2011.05.06 |
[골프상식] #32. 롱기스트(Longest), 니얼리스트(Nearest) or 클로지스트(Closest) 정의[골프상식] #32. 롱기스트(Longest), 니얼리스트(Nearest) or 클로지스트(Closest) 정의
Posted at 2011. 1. 29. 07:51 | Posted in 골프 상식한국 사람들처럼 내기를 좋아하는 사람들 없다는 말이 있잖아요. 한국에서 예전에 골프를 치다보면 정말로 내기를 안하는 라운딩은 거의 없었던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멋쟁이골퍼는 내기를 좋아하지 않아서 먼저 내기를 하자고 얘기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분위기상 어쩔 수 없이 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지요. 물론 편하고 친한 친구들과의 라운딩에서는 빡시게 내기를 하기도 합니다. ^^*
사진출처 : closetopingolf.com
- 사전에 미리 정해 놓은 파 5홀
- 티박스에서 부터 공이 떨어진 지점까지 직선 거리
- 약간 홀이 휘어진 경우 핀까지의 거리를 주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니얼리스트의 정의와 가깝기 때문에 안됨
- 페어웨이에 떨어진 공
- 홀을 꼭 파 또는 그 이하 - 버디, 이글, 알바트로스 - 의 성적으로 마감
- 사전에 미리 정해 놓은 파 3홀
- 첫번째 샷 중에서 그린 위에 올라온 공
- 멀리건이나 오비 등으로 인해 1구가 아닌 공의 경우는 제외
- 홀을 꼭 파 또는 그 이하 - 버디, 이글 - 의 성적으로 마감
'골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상식] #10. 잘못 알고 있는 골프 용어들 (0) | 2011.02.03 |
---|---|
[골프상식] #33. 인도어(indoor) 연습장이 실외? (0) | 2011.02.02 |
[골프상식] #31. 벙커 내에서 두개의 공이 너무 가까운 경우 (1) | 2011.01.28 |
[골프상식] #30. 깃발 색깔로 본 홀의 위치 (0) | 2011.01.25 |
[골프상식] #29. 대회 공동 순위 상금은 어떻게 나눠 갖을까요? (1) | 2011.01.19 |